비즈니스 인수, 합병, 매각 등의 운영을 통해 돈을 긁어 모으려는 비즈니스맨들, 금융 관계자들, 법률 관계자들이 바로 야만인들이다. 이처럼 부정적 의미의 별칭을 붙였다는 사실을 봐서, 30년 전에도 위의 행위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분위기가 있었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여전히 존재해 오는 사업 모델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지금 사모펀드라고 불리는 조직이 수행하는 비즈니스에는 물론 순기능이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지극히 자본주의의 산물로써 돈 있는 자들의 돈으로 먹고 파는 게임이라고 생각된다. 전적으로 외부인 관점에서 회사를 팔고 사는 것을 보면 아무 문제 없어 보이지만, 이 자본의 게임에서 과연 얼마나 정직함이 있을까, 얼마나 정의가 구현되고 있을까, 얼마나 직원들이 존중받고 있을까 의심되며, 이사진을 포함한 경연진들은 체스 게임을 하고 있는 유명한 체스 선수가 된 것마냥 말들을 이리저리 막 움직이고 있을 뿐이라는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
스타트업 환경에서의 1년의 경험을 통해 배운 것 중 하나는, 회사라는 조직은 1) 비즈니스 전문가 2) 재무 전문가 3) 법률 전문가 가 필수 요소라는 것이 여실히 이 RJR 나비스코 사례에서도 보여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웃긴 것은 내가 이해한 위의 3요소는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필요하다고 느꼈다면, RJR 나비스코의 사례에서는 비즈니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뻐구기 처럼 요약 전달 해 줄 사람으로서, 돈을 어떻게 끌어오고/덜 잃고/더 많이 먹을지를 계산해 주기 위한 사람으로서, 법적인 책임을 어떻게 더 회피하고 남에게 법적인 책임을 묻게할 사람으로서 만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자본주의의 현실, 경쟁상회의 현실, 자원 희소의 현실 등 매우 그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은 이해하지만, 그냥 더럽게 느껴진다. 이 세계에서 전문가로 살고 있는 사람은 희열을 느끼고 있을 것이고, 아마 그 세계에 중독이 되어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정도로 보인다.
또 하나 배운 것은, 돈이 몰리는 비즈니스가 과거에는 석유, 식품, 담배 등이었고, 이 분야들은 이미 너무 뒤쳐지고 단지 비즈니스 세계에서 한결같이 돌아가지만 절대 메인이 될 수 없는 분야가 된 것이다. 야구 구단주만 보더라도 과거에 있엇던 해태가 사라진 것을 봐도 알 수 있을 것 같다. 지금 보기에는 RJR 나비스코가 사업하는 분야는 세상에 새롭거나 신선하거나 장래가 기대되는 가치를 전달해 줄 것이라고 전혀 보이지가 않지만, 30년 전에는 순위권 안의 기업이었으며, LBO 규모가 당시 최대였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기에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책을 읽으면서, 더럽고 부정적인 생각들이 많이 들었지만, 결국 내 이름을 날리기 위해서, 부자가 되기 위해서, 가슴에 큰 자극을 느낄 성취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저 자본 사회의 끄트머리에 있는 저 더러운 세계를 경험해 보는 것도 충분히 가치가 있고, 한편으로는 재미있기도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두번째 산 - 나이를 떠나 나를 내려 놓을 때 관심 갈 책 (1) | 2024.04.01 |
---|---|
[책] 2030 축의 전환 (0) | 2021.09.23 |
[책] 50 홍정욱 에세이 (0) | 2021.01.17 |
[책] 영양의 비밀 - 프레드 프로벤자 (0) | 2020.09.13 |
[책] 공부란 무엇인가 - 김영민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