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영향을 준 기업 근무 트렌드]
1. 하이브리드 업무의 역설
'집에서 방해받지 않고 일에 집중하고 싶다' VS '동료들하고 협업을 위해서는 사무실에서 만나는 것이 좋다'
'통근 시간을 아끼고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고 싶다' VS '동료들 및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한 사회적 활동을 하고 싶다'
- 재택근무의 장점, 사무실 근무의 장점의 맛을 이미 봤고, 적절하게 이 둘을 다 할 수 있는 환경을 직원들이 원한다.
2. 대규모 개편
직장 동료들 간의 유대감 약화, 일에 대한 번아웃, 감시의 눈치를 벗어나 자유롭게 일하는 환경에 대한 만족 등 이미 코로나 19와 함께한 지난 약 2년 간의 학습을 통해 많은 경제 인구들의 사고 방식이 바뀌었다.
이에 더불어, 한국은 더욱이 주식, 부동산, 출산율 하락 등의 영향과 더불어 더 많은 사고방식의 변화가 있었을 것이다.
꼭 대기업에서 일해야 하나? 일을 꼭 해야 하나? X 세대와 MZ의 코드 대립이 보이는데 굳이 어울려야 하나? 등...유망한 기업이나 Top Class의 기업은 여전히 일을 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겠으나, 전반적으로 보면 일반적 기업들은 직원 고용하기 더 어려워졌다.
- 즉, 직원들 보다 기업이 더 아쉬운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기업 또한 바뀌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
1. 사람 (People)
1) 사회적 자본 - 동기/비동기 방식의 다채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 제공
2) 지식 자본 - 직원에 대한 Reskilling
3) 인적 자본 - 인간적으로 일할 수 있는 문화 조성 (=웰빙)
2. 장소 (Place)
1) 사무실 VS 집
2) 물리공간 VS 가상공간
-> 모두 구분없이 업무/협업 환경 제공
3. 절차 (Process)
- 위 모든 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R&D, Marketing & Sales, Customer Service 등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 조정 필요
- 이에 따른 새로운 보안 환경 조성 또한 필요 (Zero-Trust)
참고: 사티아 나델라 MS CEO, “하이브리드 업무 역설과 대규모 개편 메가 트렌드, 디지털 기술 유연성 제공으로 대응” – 테크수다 (techsuda.com)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 구조조정 혹은 해고의 변화와 이를 통해 바라보는 비즈니스의 본질 (8) | 2024.10.27 |
---|---|
top 50 기업 브랜드 가치 (0) | 2021.01.13 |
미래의 50개 기업 (0) | 2021.01.11 |
10 Hot Cybersecurity Companies in 2021 by CRN (0) | 2021.01.03 |
2030년까지의 전기차 시장 전망 (0) | 2020.09.10 |